Surprise Me!

[김대호의 경제읽기] '물가 상승률 둔화'에도 가격 상승 품목 증가…배경은?

2023-04-10 1 Dailymotion

[김대호의 경제읽기] '물가 상승률 둔화'에도 가격 상승 품목 증가…배경은?<br /><br /><br />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둔화하고 있지만 가격이 오른 품목 수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에너지와 공공요금에서 시작한 소비자물가 상승 압력이 시차를 두고 품목 전반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관련 내용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 지난달 소비자물가를 구성하는 전체 458개 품목 중 86.2%에 달하는 395개 가격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둔화되고 있는데 가격이 오른 품목은 왜 늘어난걸까요?<br /><br /> 물가 추세를 보여주는 근원물가의 오름세도 지속되고 있습니다. 근원물가는 외식 등 가격이 한번 오르면 좀처럼 내리지 않는 품목들로 구성되어있는데 당분간 소비자들이 체감할 물가 부담은 계속 높다고 봐야할까요? 근원물가 상승률이 전체 물가 상승률을 웃돈다는 건 어떤 의미가 있는 일인가요?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한국은행이 내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열어 기준금리를 결정하는데요. 최근 물가 흐름을 고려했을 때 동결과 인상, 어느 쪽에 무게를 두시나요? 금리 인하는 언제쯤 가능할까요?<br /><br /> 경기가 위축되며 올해 세수가 기존 예상치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정부가 한시적으로 내렸던 '유류세 인하' 정상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데 유류세 인하 조치가 폐지되면 추가로 확보할 수 있는 세수가 어떻게 되나요?<br /><br /> 유류세 인하 조치가 폐지될 경우 여전히 높은 수준인 물가를 더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. 아무래도 정부로서는 부담이 될 것 같은데 물가에 어떤 변수가 될까요?<br /><br /> 금값이 사상 최고 수준으로 오르면서 실물 금을 사들이는 투자자가 늘어나고 있습니다. 1주일 새 골드바 25억 원어치가 팔렸다는데 금값이 연일 오르고, 또 금에 대한 선호심리가 그 어느 때보다 커지는 배경은 무엇 때문인가요?<br /><br /> 금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만큼 지금이라도 투자에 뛰어들지 말지 고민하는 투자자들도 늘고 있는데요. 투자에 앞서 주의해야 할 점을 짚어주신다면요?<br /><br />#소비자물가 #근원물가 #체감물가 #한국은행_금융통화위원회 #유류세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